728x90
반응형
수출 후 달러가 들어오면 필요에 따라서 원화로 환전하기도 하고, 그대로 달러로 두기도 한다. 나중에 달러로 물건을 매입해야 할 때도 있고, 일정부분은 달러로 가지고 있는 것도 괜찮다고 생각한다. 다만 그냥 보통예금에 넣어두자니 이자가 없는 것이 아까워, 달러 예금에 가입하기도 하고 또 외화 발행어음에 가입하기도 했다. 이번에는 연말까지 달러를 쓸 일이 업을 것 같아서 12월 15일 만기인 외화채권, 미국채를 매수하기로 했다.
2020년 12월 15일에 발행된 유통물이기 때문에, 내가 매수 한 날을 기준으로 했을 때 채권의 가격은 발행당시의 가격과는 차이가 있다. 투자를 했을 때 이자는 어떻게 되고 원금 수령은 어떻게 될지는 모의투자로 돌려볼 수 있다. HTS 프로그램상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니 투자 전에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이자는 거의 없고, 대부분 자본차익이다.
달러투자는 환율변동의 위험을 가지고 있다. 요즘 계속 달러가 1300원이 넘는데, 언제 다시 1300원 이하로 하락할지 모른다. 어쩌면 이자 몇%를 받겠다고 달러를 계속 가지고 있는 것 보다, 달러가 비쌀 때 파는게 이득일 수도 있다. 하지만 회사 운영상의 목적으로 일정 부분의 달러를 갖고가기로 했기에, 그대로 두는 것 보다는 이렇게 차익을 보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728x90
반응형
'경영 지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기사채 정보 찾기 (0) | 2023.08.31 |
---|---|
회사 단기자금 운용 - 단기사채(NH투자증권) (0) | 2023.08.31 |
정부 비자금을 기업 활성화 자금으로 빌려준다? (오래된 사기 수법) (0) | 2023.08.24 |
은행의 보험성 상품 권유, 적금이랑 다르다. (0) | 2023.08.24 |
티스토리를 홈페이지 처럼(1) - 파비콘(jpg, png를 ico로 변환하기) (0) | 2023.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