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 지원

단기사채 정보 찾기

경영지원실장 2023. 8. 31. 14:32
728x90
반응형

증권사별로 단기사채를 보유하고 있고, 이걸 개인/법인에 리테일로 판매하고 있어요. 기관투자자들은 수십억에서 수백억 단위로 매수를 할테지만 개인은 많아야 억단위를 넘기 힘들잖아요. 채권 시장은 주로 백억단위로 움직이기 때문에 억단위는 소액투자, 짜투리로 여겨집니다. 

 

NH투자증권에서 현재 올라와있는 단기사채 리스트는 아래와 같습니다.

증권사에서는 위와같이 단기사채의 종목 정보를 올려두고 있어요. 하지만 이런 정보들만으로는 이 사채가 어떤건지 잘 알기 어렵죠? 기초자산 열을 보시면 조금 이해가 되실거에요. 대부분 부동산 PF와 관련된 것들이네요. 아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부동산 PF는 리스크가 매우 큰 편이에요. 그런데도 해당 단기사채들이 안정적 등급인 A1을 받고 있네요? 그 이유는 바로 '신용 보강' 때문입니다. 

 

신용보강 쪽을 보시면 '한국투자증권 매입확약', '키움증권 매입확약', '한화투자증권 매입확약' 등이 적혀있죠? 보통 증권사들이 매입을 해주기로 확약이 되어있다~는 의미로 '매입확약'이라고 줄여서 표현합니다. 

 

부동산 PF는 일반적으로 생각했을 때 장기프로젝트겠죠? 부동산 개발이라는 것이 몇달만에 끝나는게 아닐테니 말이에요. 하지만 해당 단기채권들은 주로 3개월 이하의 만기를 가지고 있어요. 이건 만기가 긴~채권을 3개월 단위로 쪼개놓아서 그런거에요. 3개월 후 상환을 해주고, 재투자 하고 싶은 사람은 재투자하고, 새롭게 투자하고 싶은 사람은 다시 3개월짜리 채권을 사는거죠.

 

근데 시장 상황이 좋을 때는 계속해서 투자자를 모집할 수 있겠지만 시장 상황이 안좋을 때 신규 투자자를 구하지 못하면 해당 부동산 PF는 곤란한 상황에 처하겠죠? 게다가 3개월 단위로 투자를 했던 투자자들이 원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경우도 생길 수 있어요. 이럴 때 우량한 증권사가 우선 그 채권을 매입해주겠다! 라는게 매입확약이라고 이해할 수 있어요. 그럼 한국투자증권이나 키움증권같은 증권사들이 건재하게 있는 한 나는 만기 때 채권 원리금을 제대로 받을 수 있게 되는거죠.

 

그래서 사실상 위와같은 단기사채들은 부동산 PF의 내용보다는 '매입확약'을 해주고 있는 증권사가 얼마나 우량한지를 더 중점적으로 보게 되고, 신용등급도 매입확약 주체의 단기신용등급에 따라 정해지는 편이에요. 

 

지난번 포스팅한 글에서 케이더블유광명으로 투자모의 시뮬레이션을 돌려봤었는데, 케이더블유광명에 대한 종목 정보를 찾는 법을 알려들게요. 먼저 신용평가사 사이트로 들어가주세요. 저는 나이스신용평가사 홈페이지로 들어가보겠습니다. 

 

https://www.nicerating.com/disclosure/securitizationCompanyGrade.do?cmpCd=5202732 

 

NICE신용평가

 

www.nicerating.com

 

종목정보를 검색하면 아래와 같이 리포트를 볼 수 있어요. 최초 발행은 21년 6월 1일이었고, 그 이후로 2개월 단위로 발행을 이어오고 있네요. 지금 저희가 보고 있는 상품은 14회차가 되겠네요. 

위에서 설명드린 것과 같이 해당 채권의 위험요서는 '키움증권(주)의 사모사채 인수확약으로 통제'되고 있다고 나와있습니다. 

 

그래도 기초자산이 궁금하신분들은 아래 내용 참고하시면 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