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경영관리 주니어, 경리입니다.
제가 일하고 있는 회사는 기계를 판매하기도 하고, 그 기계를 직접 돌려서 가공을 하기도 해요. 최근에 기계 판매를 위한 영업을 다녀왔는데, 고객사에서 "투자를 했을 때 얼마나 이득일지 감이 안 온다"라고 하셨어요. 한 번에 투자하는 금액 단위가 워낙 크다 보니까 고민을 하시는 게 당연하죠.
이럴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투자했을 때 얼마나 이익이 날지 손익분석을 해야겠죠. 물론 계산을 한다고 해서 그대로 되지는 않을 거예요. 사업을 하다 보면 변수가 워낙 많이 발생하니까요. 그렇지만 조금이라도 가시적으로 시뮬레이션을 해보기 위해 몇 가지 가정을 넣고 계산을 해보았어요.
시뮬레이션해보기
우선 주어진 조건을 먼저 입력했어요.
감가상각은 5년으로 잡았어요. 7~10년으로 잡기도 하는데, 일반적으로 작은 기업에서는 5년으로 잡고 계산을 한다고 하네요. 기계 1대의 가격은 5억 원이고(설비투자), 이 기계로 한 달에 30개를 생산할 수 있다고 가정해볼게요. 1인당 인건비는 월 500만 원이고, 노동력은 2명이 투입될 거예요. 이 상황은 주어진 값이에요. 기계값은 협상을 통해 조금 싸게 할 수도 있고, 효율적으로 가동하면 생산량이 늘기도 하겠죠? 이때는 이렇게 가정한 기본값들을 바꿔주기만 하면 됩니다. 위 가정 표에 들어있는 숫자를 바꾸면 결괏값은 자동으로 계산됩니다. 조건을 변경했을 때 자동으로 계산되도록 엑셀을 만들었어요.
이제 필요한 건 '변동비용'입니다. 1개를 추가로 생산할 때 얼마만큼의 비용이 더 들어가는지 알고 있어야 해요.
고정비랑은 다른 개념으로, 저는 이 변동비용을 계산하기가 어려웠어요. 원재료 같은 경우 생산량 1개에 정확하게 매칭 되지가 않거든요. 어떤 재료는 한번 구입하고 나면 2달을 쓰는 반면, 어떤 소모품은 한번 구입해두면 1년은 쓸 수가 있어요. 이럴 경우 정확히 1개를 생산하는데 소요된 비용이 얼마인지 분리해내는 게 쉽지가 않죠.
특히나 생산공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문과 출신 경영관리직인 저로서는 이게 너무 어렵더라고요. 그래서 저는 상반기 지출한 전체 재료비, 관리비를 생산량으로 나누는 방식으로 간단히 계산을 해봤습니다.
(재료비 + 관리비) / 생산량
예를 들어 상반기 재료비와 관리비를 더한 값이 2천만 원이고 생산량이 100개면, 1개를 생산하는데 20만 원의 변동비가 들었다고 계산했어요. 아래 표에서 '단위 비용'이라고 표시된 부분이 바로 이 항목입니다. 1 단위를 생산하기 위해서 얼마의 비용이 들었는가에 대한 내용이에요. 두리뭉실한 계산법이기는 하나 나중에 사장님이 작성한 최종 파일과 비교했을 때 결괏값이 어느 정도 비슷하더라고요.
1. 단위 가격은 '판매 가격'으로 보면 되고, 단위 비용은 '1개를 생산하는데 추가로 들어가는 비용'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2. 판매량은 한 달에 30개를 생산해서 연간 360개를 생산&판매한다고 가정했고요.
3. 수익은 판매량 X 단위 가격입니다.
4. 변동비용 합계는 단위 비용 X 판매량
5. 인건비는 1명이 월 500만 원으로 가정했으니, 연간 2명을 고용할 경우 1억 2천만 원이 소요됩니다.
6. 고정비용은 설비투자/감가상각(연)으로 5억/5년으로 해서 연간 1억으로 잡았습니다.
이제 수익-비용을 계산해보면 '이익'이 계산됩니다.
아마 현실은 이와 다른 변수가 정말 많겠죠? 기본 세팅은 이렇게 단순화해서 만들어두고 실제 의사결정을 할 때에는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봐야 할 것 같아요.
배우면서 작성하는 블로그라 혹시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도 있어요. 피드백은 언제든 환영입니다~ 작은 기업 경영관리 업무를 하면서 도움이 될만한 자료들을 업로드하고 있으니,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릴게요.
'경영 지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원기업지원단 활용하기] 2023 외국어 통번역 지원사업 (0) | 2023.06.02 |
---|---|
도쿄 첨단 제조 산업 박람회 참관 준비-Manufacturing World Japan (0) | 2023.05.25 |
작은기업에 ERP 도입하기 (0) | 2022.07.01 |
"중소기업 복지플랫폼"이 있다던데 (0) | 2022.06.23 |
꼭 알아야 할 영업비밀 관리 표준서식 활용가이드 다운로드(#영업비밀보호센터) (0) | 2022.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