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공부

엔화투자 - 엔화로 미국 장기국채(TLT) 매수하기

경영지원실장 2023. 9. 5. 15:10
728x90
반응형

엔저가 지속도면서 엔화투자에 관심을 갖는 사람이 늘어난 것 같습니다. 저도 얼마전부터는 관심을 갖고 엔화를 매수하고 있는데요. 단기 투자용으로 큰 금액을 움직이는건 아니고, '이정도 금액은 언젠가 일본 여행할때라도 쓰게 되겠지'라는 생각이 들 정도만 매수하고 있습니다. 뉴스를 보니 단순히 환차익을 노리는게 아니고, 엔화를 이용한 투자를 하는 경우도 많다고 하네요.   

 

 

저도 '언젠가 엔화가 1000원이 될 때'를 기다리자는 마음으로 매수를 한 터라 현금을 그냥 놀리기가 아까워 ETF를 조금씩 매수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 엔화로 상장된 미국채 연동 ETF를 알게되어 매수해봤습니다.

 

 

제가 수익을 볼 수 있는 시나리오는 아래와 같습니다. 

 

1. 미국채 가격이 상승할 때

(즉, 미국 장기 금리가 하락할 때)

2. 엔화 가치가 상승할 때

 

미국채 가격이 상승하더라도 엔화 가치 하락분이 더 크다면 저는 수익을 볼 수 없겠죠.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 입니다. 엔화 가치는 상승했더라도 미국채 가격이 하락했다면 수익을 볼 수 없습니다. 

 

하지만 미국채 가격이 상승하면서 엔화가치도 상승하면 두 방면의 수익을 모두 얻을 수 있겠죠. 미국채 가격이 상승하려면 미국이 금리 인상을 멈추고, 장기 금리가 하락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형성되어야 합니다. 현재의 엔저의 원인으로는 미국과 일본의 금리차이도 어느정도 작용하고 있습니다. 미국 금리인상 기조가 멈춘다면 엔저 해소에도 도움이 되겠죠. 

 

하지만

 

저는 금리와 환율을 제가 예측할 수 있다고 믿지 않습니다. 금리와 환율이야말로 너무나 복잡한 변수가 작용하고 있어 인간이 예측하기 어려운 미지의 영역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제가 엔화로 미국채를 매수한 것은, 포트폴리오 분산 차원에서 원화와 달러가 아닌 다른 자산을 갖고 있는 것도 좋을 것 같다고 생각했고, 엔화로 사고 싶은 ETF나 주식이 생길 때에 대비해서 이정도 가격대에서 엔화를 매수해두는 게 나쁘지 않겠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제 경험상 일본 기업 주식이나 리츠를 매수하고 싶었지만 엔화 환율이 걱정되어 못샀던 적이 몇번 있습니다. 그래서 그냥 이정도 가격대에서는 기계적으로 매수하자고 마음을 먹었습니다. 

 

 

 

 

 

728x90
반응형